NAVER OpenAPI
중직대부
조선시대 관계조직은 사회신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직종에 따라 신분과 한품(限品)이 달랐다. 종4품 이상을 대부, 장군이라 하였고, 정5품 이하를 낭(郎), 교위(校尉)라고 하였다. 문산계...
부사약
하급 내시로서 체아직(遞兒職)에 속했다. 2번으로 나누어 근무하고 근무일수 600일마다 품계를 올려주었다. 정6품이 되면 근무를 면제받으며, 정6품이 한품이다.
서얼금고법
또 이전(吏典) 한품서용조(限品敍用條)에 문·무 2품 이상의 양첩(良妾) 자손은 정3품, 천첩(賤妾) 자손은 정5품에 한하고, 6품 이상의 양첩 자손은 정4품, 천첩 자손은 정6품에 한하며, 7품 이하 관직이 없는...
안견
세종 때는 화원의 한품(限品)인 종6품을 처음으로 깨고 정4품으로 승진하기도 했다. 신숙주에 의하면, 안평대군(安平大君)을 가까이 섬기면서 그의 고화(古畫)를 섭렵하여 자신의 화풍을 이루는 토대로 삼았다고...
채팽윤의 금강산 한자시선
안문봉(雁門峰) 仰攀箕尾俯聞風 머리를 들면 별들이 잡힐 듯 발밑에선 바람소리 윙윙 千里平谷不介胷 천리 땅이 한눈에 안겨와 가슴도 후련하구나 表裏名山雙袖底 내금강 해금강도 한품에 드니...
박곤
박곤 御經筵。 講訖, 正言柳仁濡啓曰: “典樂朴"imagefont", 賤妾産也, 別無功勞, 而特加一資, 甚未便。” 上曰: “是特旨也。 不可拘於限職也。” 大司憲朴安性曰: “"imagefont"職有限, 而今乃特加。 古人云: ‘寔命不同。’...
이준창
1185년에는 태복경(太僕卿)에 올랐는데, 국제(國制)에 의하면 궁인의 자손은 7품에 한품(限品)되고 과거에 급제한 경우에도 5품을 넘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때 3품직에 제수되었어도 간관(諫官)들이...
리춘식
유화 ‘원아들을 한품에 안으시어’(1970, 150×100cm), ‘교환수들의 훈련을 보아주시며’(1971, 157×110cm), ‘해방된 조국에서’(1974, 150×115cm), ‘제사공’(1975), ‘금강산 계곡’(1976)...
생선간
조선시대에 궁중에 물고기를 잡아 바치던 역을 부담하였던 천역자. 간(干)이란 고려 때부터 신분은 양인(良人:평민)에 속하나 왕실이나 사원(寺院) 등 특정기관에 집단으로 예속되어 특수한 역(役)을...
보충대
조선 시대 오위(五衛) 가운데 의흥위(義興衛)에 소속된 병종. 양천(良賤) 사이의 신분을 변별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태종 15년(1415) 설치 당시에는 보충군이라 불림. 보충군 당시에는 비첩산(婢妾産) 및...
부동산
자동차
사고팔고
취업정보
숙박정보
셀프업소록
현재접속자